목장운영지침 날마다 큐티 날마다 전도 날마다 살아있는 2016년
지방거주 혹은 직장일로 인해 평일 목장에 참석하지 못하는 여자 성도를 대상으로 한다.
주일 부부목장에 참석해야 할 권찰이나 목원들이 직장 목장에 소속해 있는 경우에는 한 달에 한번은 꼭 참석하도록 한다(매월 마지막주).
사역과 양육이 다 들어간다.
목장 예배는 주일 설교를 위주로 나눔을 많이 하도록 한다.
목장과 양육 중에서 목장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꼭 주일에 양육을 받아야 할 경우 주일 오전에 모이는 목장, 혹은 주중으로 목장을 옮겨서 하도록 한다.
부부의 참석을 원칙으로 한다(단,부득이한 경우 교회에서 정해주는 원칙을 따른다.
주일모임의 경우 지방거주 혹은 부득이한 사정으로 평일에 참석하지 못하는 부부를 대상으로 한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남편 없이 여자 목원이 혼자서 가는 것은 안된다.
예배는 집마다 돌아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장소가 마땅치 않을 경우 목자집과 부목자 집을 자주 오픈한다.
주일 목장에서 음식점을 이용할 경우에는 비용으로 인해 시험 드는 일이 없도록 신중하게 상의해서 결정한다.
은사 별로 친교부장,찬양부장,봉사부장을 세워 함께 만들어 가는 목장이 되도록 한다.
부부목장은 식탁교제이며 1식 3찬으로 준비한다. 신중하게 상의해서 결정한다.
사도신경으로 시작한다.
시작 기도는 돌아가면서 하고 교회와 담임목사님, 성전 건축을 위해 기도한다.
반드시 주기도문으로 마친다.
여자목장,부부목장,직장목장,일대일 양육의 처방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우선권은 일대일 양육교사보다 목자에게 있다.
새 가족이 처음 참석하면서 새 가족을 중심으로 나눔을 한다.
새 가족이 오면 초원지기의 심방을 받고 3주 동안 잘 정착하는지 보고를 한다.
목장에서 본인의 직장, 생업에 대한 홍보성 발언을 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도 돈 거래하지 말고 물건을 사고 파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목자가 적체된 지역이 있고 목자가 없는 지역이 있다.
그래서 목자가 늦게 될 수 있고 빨리 될 수도 있다.
또 목자를 했다가도 평목원이 될 수도 있다.
목장보고서 올리는 것이 부목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목보 올리고 나서 바로 목자에게 보고하며 목자와 비밀번호 공유해서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목장 보고서, 전화 심방 등으로 목자를 돕는다.
마을의 각 목장보고서 읽고 리플도 달아주고 기도제목과 상황을 초원에게 보고한다.
낮 목자모임: 한 달에 3번 (평원모임 1번, 초원모임 2번,월요일)
전체 부목자모임: 한 학기 1번
초원별 부목자 모임: 한 달에 1번(마지막 주 월요일)
직장목자모임: 한 달에 2번(주일)
직장 부목자모임: 한 달에 1번(주일)
마을연합모임: 한 학기 1번
부부목장 목자모임: 한 달에 3번(주일)
부부목장 부목자모임: 매월 셋째 주(주일)
마을모임: 한 학기 1번
전체 초원별 낮목장 수련회: 1년에 한번 (하반기는 운동회 또는 초원연합모임)
전체 초원별 직장목장 수련회: 1년에 한번(하반기는 초원연합모임)
전체 평원/초원별 부부목장 수련회: 1년에 두 번(하반기는 초원별 운동회 또는 연합모임)
지방거주 혹은 직장일로 인해 평일 목장에 참석하지 못하는 여자 성도를 대상으로 한다.
주일 부부목장에 참석해야 할 권찰이나 목원들이 직장 목장에 소속해 있는 경우에는 한 달에 한번은 꼭 참석하도록 한다(매월 마지막주).
사역과 양육이 다 들어간다.
목장 예배는 주일 설교를 위주로 나눔을 많이 하도록 한다.
목장과 양육 중에서 목장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꼭 주일에 양육을 받아야 할 경우 주일 오전에 모이는 목장, 혹은 주중으로 목장을 옮겨서 하도록 한다.
부부의 참석을 원칙으로 한다(단,부득이한 경우 교회에서 정해주는 원칙을 따른다.
주일모임의 경우 지방거주 혹은 부득이한 사정으로 평일에 참석하지 못하는 부부를 대상으로 한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남편 없이 여자 목원이 혼자서 가는 것은 안된다.
예배는 집마다 돌아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장소가 마땅치 않을 경우 목자집과 부목자 집을 자주 오픈한다.
주일 목장에서 음식점을 이용할 경우에는 비용으로 인해 시험 드는 일이 없도록 신중하게 상의해서 결정한다.
은사 별로 친교부장,찬양부장,봉사부장을 세워 함께 만들어 가는 목장이 되도록 한다.
부부목장은 식탁교제이며 1식 3찬으로 준비한다. 신중하게 상의해서 결정한다.
사도신경으로 시작한다.
시작 기도는 돌아가면서 하고 교회와 담임목사님, 성전 건축을 위해 기도한다.
반드시 주기도문으로 마친다.
여자목장,부부목장,직장목장,일대일 양육의 처방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우선권은 일대일 양육교사보다 목자에게 있다.
새 가족이 처음 참석하면서 새 가족을 중심으로 나눔을 한다.
새 가족이 오면 초원지기의 심방을 받고 3주 동안 잘 정착하는지 보고를 한다.
목장에서 본인의 직장, 생업에 대한 홍보성 발언을 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도 돈 거래하지 말고 물건을 사고 파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목자가 적체된 지역이 있고 목자가 없는 지역이 있다.
그래서 목자가 늦게 될 수 있고 빨리 될 수도 있다.
또 목자를 했다가도 평목원이 될 수도 있다.
목장보고서 올리는 것이 부목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목보 올리고 나서 바로 목자에게 보고하며 목자와 비밀번호 공유해서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목장 보고서, 전화 심방 등으로 목자를 돕는다.
마을의 각 목장보고서 읽고 리플도 달아주고 기도제목과 상황을 초원에게 보고한다.
낮 목자모임: 한 달에 3번 (평원모임 1번, 초원모임 2번,월요일)
전체 부목자모임: 한 학기 1번
초원별 부목자 모임: 한 달에 1번(마지막 주 월요일)
직장목자모임: 한 달에 2번(주일)
직장 부목자모임: 한 달에 1번(주일)
마을연합모임: 한 학기 1번
부부목장 목자모임: 한 달에 3번(주일)
부부목장 부목자모임: 매월 셋째 주(주일)
마을모임: 한 학기 1번
전체 초원별 낮목장 수련회: 1년에 한번 (하반기는 운동회 또는 초원연합모임)
전체 초원별 직장목장 수련회: 1년에 한번(하반기는 초원연합모임)
전체 평원/초원별 부부목장 수련회: 1년에 두 번(하반기는 초원별 운동회 또는 연합모임)